본문 바로가기
하얀눈으로 바라보기/Reading

오십에 읽는 논어 (유노북스, 최종엽, 2021.11.03)

by whit2eyes 2022. 9. 2.

아직 오십은 아니지만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무엇인가 답답함을 느낄때, 길을 잃고 지금 그자리에서 갈팡질팡을 할때, 나를 좀더 다잡고 앞으로 나아가고 싶을때 그러한 순간은 누구에게나 다가올 수 있습니다. 세상엔 수많은 선지자 들과 선배들이 그들의 경험과 노력으로 얻은 수많은 나침반을 제시하고 있고, 우리는 그 나침반을 참조하여 다시 길을 걸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오십에 읽는 논어"라는 책을 접했을때, 나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느 누구에게도 공감이 될 수 있는 글들이 나의 머리를 때렸습니다. 지금 내가 무엇을 위하여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자그마한 성찰을 다시금 하게 만드는 그러한 글들 입니다. 

공자의 말씀에, 공자와 제자들의 일화에 엮여 있는 가르침을 풀어서 해석하고 작가의 마음과 자신의 경험을 담은 아주 소중한 책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오십에 읽는 논어(교보문고 특별판 리커버) - 교보문고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공자의 말 | 흔들리는 오십의 공허, 논어로 채워라!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공자의 말 공허한 오십에게 공자가 하는 말 가정과 회사, 가정에선 부모와 자식,

www.kyobobook.co.kr

인생의 절반쯤에 인생 후반을 계획하라
인생의 하프타임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사십이 될 수도 있고, 오십 혹은 육십이 될 수도 있습니다.

서른 즈음에 시작된 전반전을 치르다 보면 어느 정도 매듭이 지어져 가는 걸 느낍니다.
그게 사십이면 사십부터, 오십이면 오십부터, 육십이면 육십부터 몇 년간을 하프타임이라고 생각하고 
전략을 세우면 됩니다.


시간이 날때, 짬짬이 봐도 쉽게 풀어 이해를 시켜주는 좋은 책입니다. 인생의 전반전을 치르고 계신분들, 하프타임이라고 생각되시는 분들이 인생의 후반전을 위하여 한번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kairos.connectvalue.net/contents/fanPage/main/main.asp

 

최종엽 강사의 팬페이지

단 1분도 긴장을 멈출 수 없는 유쾌하고 재미있는 인문학 강연

kairos.connectvalue.net

출판사 서평
흔들리는 오십의 공허, 논어로 채워라!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공자의 말

공허한 오십에게 공자가 하는 말
가정과 회사, 가정에선 부모와 자식, 회사에선 사장과 직원 사이에 껴 중심을 잡기 힘들어 흔들리는 오십. 여전히 사람에 치이며 세상에 휘둘린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을 따라 잡으려 앞만 보고 달려오다 인생 후반전을 눈앞에 둔 하프타임에 도달했다. 이룬 게 없는 것 같아 쓸쓸하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하다. 오십에 문득 공허한 마음을 마주하게 된 것이다.
저자는 《오십에 읽는 논어》를 통해 인생의 절반쯤에 읽는 《논어》가 특별하다고 말한다. 그 핵심엔 공자가 제자 증자에게 말한 ‘오도일이관지’, 즉 ‘일관된 길을 걸어왔다’는 뜻의 구절이 있다. 오십에 이르면 왔던 길을 돌아볼 수밖에 없을 텐데, 일관되게 걸어왔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고 해도 괜찮다. 아직은 인생의 하프타임, 인생 후반전에 ‘오도일이관지’를 외칠 수 있길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공자의 말과 삶에서 공허한 오십의 새로운 돌파구를 발견할 수 있다. 공자는 사십에 의혹이 없었고 오십에 천명을 알았다고 하지만, 오십이 넘어서야 비로소 왕의 부름으로 정치 일선에 나섰고 육십 중반까지 이룬 것 없이 이국을 떠돌아야 했다. 그럼에도 그는 좌절하지도 낙담하지도 않고 학문으로 정진하며 말을 글로 옮겨 전파했고 자신만의 길을 가고자 했다.
그러니 우리네 오십은 흔들리고 방황하며 공허한 게 당연하다. 받아들이곤, 공자가 그랬던 것처럼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생각하고 결정하고 선택하면 된다. 그게 바로 지금 이 시대 오십의 지천명이다. 누구나 자신만의 길을 갈 수 있는 것이다.

거인의 어깨 위에서 인생을 바라보라
아이작 뉴턴은 일찍이 “내가 더 멀리 보았다면,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서 있었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오십에 《논어》를 읽어야 하는 이유로 풀이할 수 있다. 오십쯤 되면 꺾이지 않을 꿈과 흔들리지 않는 뜻을 세워야 하니, 거인 공자가 전하는 말로 인생을 바라보면 답이 나올 것이다.
《논어》의 처음과 마지막 어구는 인생의 중요한 역할과 기준을 가리킨다. 내 삶을 내가 직접 꾸려 나가는 리더가 되기 위한 3단계, 즉 끊임없이 배우고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주도적으로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방법과 목적 있는 삶·바르게 사는 삶·함께하는 삶의 기준을 밝히려 했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니 기쁘지 아니한가.
친구가 먼 곳에서 오니 즐겁지 아니한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서운해하지 아니하니
군자가 아니겠는가”

“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다.
예를 알지 못하면 일어설 수 없다.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 수 없다”

공자는 《논어》를 통해 ‘군자’를 말하고 있다. 군자라 하면 덕과 학식이 높은 사람을 말하는데,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 ‘리더’에 걸맞지 않을까 싶다. 저자가 책을 통해 설파하려는 것도 리더의 참모습이다. 셀프 리더, 조직 리더, 사회 리더, 국가 리더로서의 올바르고 바람직한 상(像)을 말이다.

흔들리는 오십을 다잡는 논어의 지혜
더 이상 남의 인생을 위해 시간을 쓰고 싶지 않고, 타인의 목표와 꿈을 위해 시간을 쓰고 싶지 않으며, 선택당하지 않고, 스스로의 꿈과 미래를 선택하며 살고 싶어 오십이 되기 직전 회사를 나왔다는 저자. 하지만 오십이 되며 흔들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흔들리는 오십을 다잡고자 목표를 세웠고 변화를 시도했는데, 와중에 접한 게 《논어》다. 인생 후반전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사는 데 공자는 어떤 말로 제안했을까. 다음을 보자.

‘서두르지 말고 작은 이익을 돌보지 않는다’
‘어찌해야 할까, 심사숙고하는 힘을 기른다’
‘힘들어도 시 쓰고 노래하는 여유를 부린다’
‘혼자만의 삶에서 함께하는 삶으로 전환한다’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한다’

강요하지 않고 강조하며 몸소 보여 주려 한다. 충분히 따라해 보고 삶을 바꾸는 데까지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이다. 여전히 조급함이 앞서는 오십이 희망적일 수 있게 한다. 언제 읽어도 좋을 《논어》이지만, 오십에 읽는 《논어》가 특별한 이유다.

‘먼저 자신의 말을 스스로 실행하고 그다음에 타인이 자기를 따르게 한다.’
_본문 중에서

공자가 전하는 말과 《논어》의 지혜에 귀 기울이고 짚어 나가면, 인생의 절반 오십에 서서 지난날의 나를 돌아보고 현재에 대입해 보며 다가올 날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실감나게 그려 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